제1금융권이라고 불리우는 소수의 메이저 은행들과 달리, 제2금융권으로 취급되는 저축은행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저축은행은 시중 은행에 비해 규모도 작고 지점도 적어서 독자적인 인터넷 뱅킹이나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저축은행은 'SB톡톡플러스'라는 저축은행 통합 어플로 예금이나 적금을 가입하거나 해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그러나 여전히 시중 은행에 비해 정보를 얻기 어렵다. 나도 저축은행 예금을 갑자기 해지해야 하는데 예금 해지가 되지 않아 당황한 경험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주요 저축은행들의 예금(적금) 해지 가능 요일 및 시간을 정리해봤다.
SB톡톡플러스에서 예금과 적금을 가입할 수 있는 저축은행의 경우, 토요일이나 일요일, 공휴일에는 예금이나 적금을 해지할 수 없다. 평일 00:10 ~ 23:45까지만 예금과 적금 해지가 가능하다.
SB톡톡플러스에 포함된 저축은행 목록은 다음과 같다.
고려, 국제, 금화, 남양, 다올, 대명, 대백, 대아, 대원, 대한, 더블, 더케이, 동양, 동원제일, 드림, 라온, 머스트삼일, 모아, 민국, 바로, 부림, 삼정, 삼호, 상상인, 상상인플러스, 세람, 센트럴, 솔브레인, 스마트, 스카이, 스타, 아산, 안국, 안양, 에스앤티, 엠에스, 영진, 예가람, 오성, 오투, 우리, 우리금융, 유니온, 유안타, 융창, 인성, 인천, 조은, 조흥, 진주, 참, 청주, 키움, 키움예스, 페퍼, 평택, 한국투자, 한성, 한화, 흥국, CK, DH, HG, IBK, JT친애, JT, OK저축은행
SB톡톡플러스에 포함되지 않은 저축은행들의 경우, 은행들마다 예금(적금) 해지 가능 요일과 시간이 조금씩 다르다.
전반적으로 거대 금융지주에 속한 곳들이 예금(적금) 해지 시 시간 제약이 적은 편이었다. 대표적으로 SBI저축은행, KB저축은행, 하나저축은행은 3곳은 시간 제약 없이 24시간 예금 해지가 가능했다. 단독으로 인터넷뱅킹을 운영하지만 오히려 SB톡톡플러스보다 예금(적금) 해지 제약이 더 심한 저축은행들도 있었다.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비싼 이유(ft. 경쟁 피하는 사회) (0) | 2024.05.23 |
---|---|
생활비 줄이는 팁 24가지 - 쓸 것 쓰면서 아끼는 방법 (0) | 2024.05.21 |
2024년 국내 재벌 순위(1위 ~ 88위) - 그룹별 자산 총액과 계열사 수 (1) | 2024.05.16 |
가락시장 5대 도매상(도매시장법인) 소유주, 매출 분석(ft. 영업이익률 높은 알짜 회사) (0) | 2024.05.01 |
삼성 iD 글로벌카드 - 발급과 동시에 공항 라운지 무료 이용 가능한 신용카드 (0) | 2024.04.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