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 중인 도시 10곳(ft. 인구 감소 이유)

투자 일기/부동산 정보

by Path Follower 2024. 12. 24.

본문

반응형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증가하는 광역자치단체는 많지 않다. 몇 안 되는 곳 중 가장 인구가 많이 늘어나는 지역은 경기도이다. 서울의 높은 집값을 피해 서울을 떠나는 사람과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올라오는 사람들이 서울보다 집값이 저렴한 경기도를 거주지로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기도의 인구가 증가한다고 해서 경기도에 있는 모든 도시들의 인구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이번 글에서는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 중인 도시 10곳과 인구 감소 이유를 정리해 본다.

 

 

지난 10년간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 중인 도시와 감소 이유 분석

경기도에서 2014년 11월 인구수와 2024년 11월 인구수를 비교했을 때 10년 전과 비교 시 인구수가 감소한 도시는 안산, 부천, 광명, 성남, 안양, 군포, 포천, 동두천, 의왕, 구리 총 10곳 이다.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한 도시와 그 이유를 분석해본다.

10년 전과 비교 시 인구가 감소한 경기도 도시

 

1. 안산시

  • 2014년 인구 수: 70만 8,452명
  • 2024년 인구 수: 62만 1,550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8만 6,902명(12.26% 감소)

 

안산시는 경기도 최대 공업도시 중 한 곳이다. 반월공단으로 대변되는 공업지대가 드넓게 펼쳐져 있고, 공업지대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도시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의 40%가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안산시 인구 구조의 특징은 내국인은 크게 감소한반면, 외국인 거주자수는 증가했다는 점이다. 안산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위 통계에 잡히지 않지만 2014년 6만 8,000명에서 2024년 9만 6,000명으로 증가했다. 안산의 인구가 감소한 원인은 안산 내 신축 아파트 공급이 부족했던 반면 인근 도시인 시흥이나 화성에 신축 아파트 공급이 많아서 인구가 유출되었기 때문이다. 부동산지인 자료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 2년간 화성시로 빠져나간 인구만 1만 명에 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10년간 안산시 인구 변화 그래프

 

안산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2. 부천시

  • 2014년 인구 수: 85만 5,756명
  • 2024년 인구 수: 77만 817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8만 4,939명(9.92% 감소)

 

부천시는 2010년 87만 5,000명으로 인구의 정점을 찍었지만, 2022년 결국 인구 80만 명의 벽이 무너졌다. 부천시 인구 감소 이유는 대부분의 땅이 개발되어 신축 아파트를 공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주거지가 노후화되고 있고, 주변에 있는 인천 서구, 부평구, 경기도 시흥시에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이들 지역으로 인구가 이동했기 때문이다. 향후 3기신도시인 대장신도시에 입주가 시작되면 인구 감소 폭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년간 부천시 인구 변화 그래프

 

부천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3. 광명시

  • 2014년 인구 수: 34만 9,071명
  • 2024년 인구 수: 27만 7,744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7만 1,327명(20.43% 감소)

 

광명시는 지난 10년간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한 비율로만 보면 가장 많이 감소한 도시이다. 인구의 20%가 사라졌다. 광명시의 인구가 크게 줄어든 이유는 높은 집값과 광명 구시가지의 재개발 사업 때문이다. 높은 집값 때문에 전입 인구가 적어서 1차적인 인구 감소가 있었고, 이후 광명사거리 인근 주택가들이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인구가 동시 다발적으로 광명시를 떠나 주변 도시들로 이주하게 되어 2차적인 인구 감소가 있었다. 향후 광명사거리 주변 재개발이 완료되면 인구가 다시 30만 명 이상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명시의 인구 감소는 다소 일시적인 면이 있어 보인다.

지난 10년간 광명시 인구 변화 그래프

 

광명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4. 성남시

  • 2014년 인구 수: 97만 4,910명
  • 2024년 인구 수: 91만 3,781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6만 1,129명(6.27% 감소)

 

반응형

 

성남시 인구 감소의 이유는 높은 집값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성남을 떠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근의 광주로 이사하는 인구가 지난 10년 간 약 6만 명에 달한다. 용인으로 빠져나간 인구도 3만 명 정도다. 성남 역시 더 이상 개발할 땅이 없어서 정비사업 말고는 추가적인 아파트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라서 향후 인구 감소 흐름이 지속되어 조만간 인구 90만 명이 붕괴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년간 성남시 인구 변화 그래프

 

성남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5. 안양시

  • 2014년 인구 수: 60만 881명
  • 2024년 인구 수: 55만 4,641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4만 6,240명(7.69% 감소)

 

안양시의 인구 감소도 위에서 언급한 경기도 도시들의 원인과 비슷하다. 더 이상 개발할만한 땅이 없어서 신규 주택 공급은 정체되었고, 높은 집값과 주택 노후화로 사람들이 주변 경기도 도시로 떠난 것이 안양시 인구 감소의 주 원인이다. 안양은 비교적 인근 도시들과 비슷하게 인구가 교환되었지만, 특히 화성으로 인구가 많이 유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0년간 안양시 인구 변화 그래프

 

안양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6. 군포시

  • 2014년 인구 수: 28만 8,583명
  • 2024년 인구 수: 25만 6,407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3만 2,176명(11.14% 감소)

 

군포의 인구도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14년 인구 기준 약 10%가 줄었다. 인구 감소로 인해 국회의원 선거구도 기존 군포갑, 군포을 2곳에서 군포 한 곳으로 줄어들었다. 군포의 인구 감소 역시 기존 주택의 노후화와 더 이상 개발할 땅이 부족해서 신규 아파트가 공급되지 못한 것이다. 군포에서는 주로 수원과 화성으로 인구가 빠져나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0년간 군포시 인구 변화 그래프

 

군포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7. 포천시

  • 2014년 인구 수: 15만 5,597명
  • 2024년 인구 수: 14만 1,572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1만 4,025명(9.01% 감소)

 

포천은 지난 10년간 인구가 줄긴 했지만 지속적으로 줄진 않았다. 2021년에 다소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2008년 16만 명을 넘었던 인구는 2024년 14만 명 초반으로 감소했다. 포천의 인구 감소 이유는 지역 인프라 낙후, 교통 불편, 문화 시설 부족, 인근 지역인 의정부나 양주에서의 신축 아파트 공급 등이 있다. 포천시에서는 인구성장국을 설치해서 인구 감소를 저지하는데 힘을 쏟는 중이다. 향후 7호선 연장선인 옥정포천선이 완공되면 교통 인프라 개선으로 인구 감소세가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년간 포천시 인구 변화 그래프

 

포천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8. 동두천시

  • 2014년 인구 수: 9만 7,478명
  • 2024년 인구 수: 8만 6,889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1만 589명 감소(10.86% 감소)

 

동두천시의 인구는 2016년까지 증가했다가 그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23년에는 결국 9만 명의 벽이 붕괴되었다. 동두천시 역시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군인과 군무원, 전입한 대학생에게는 월세 30만원을 지원한다고 한다. 동두천시의 인구 감소 원인은 2016년부터 공급되기 시작한 양주 옥정신도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같은 생활권에 대규모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빨려들어간 것이다. 경기 남부에서 동탄2신도시가 경기 남부권 도시들의 인구를 빨아들인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10년간 동두천시 인구 변화 그래프

 

동두천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9. 의왕시

  • 2014년 인구 수: 15만 8,905명
  • 2024년 인구 수: 15만 4,671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4,234명 감소(2.66% 감소)

 

의왕시는 10년 전 인구와 비교하면 인구가 줄긴 했지만 크게 줄지는 않았다. 오히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백운호수 일대가 개발되는 등 대규모 입주가 있었기 때문에 인구가 증가하기도 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의왕시 인구가 감소한 원인은 내손동 일대가 재개발되면서 기존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이유가 커보인다. 내년에 다시 입주가 시작되면 의왕시 인구는 다시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0년간 의왕시 인구 변화 그래프

 

의왕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10. 구리시

  • 2014년 인구 수: 18만 7,134명
  • 2024년 인구 수: 18만 6,775명
  • 10년간 감소한 인구 수: 359명 감소(0.19% 감소)

사실 구리시는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인구가 줄긴 줄었으나, 유의미하게 인구가 감소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인구 감소폭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구리시는 10년간 인구가 줄었다기보다는 인구가 늘지 않았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다. 2018년에는 20만 명이 넘기도 했으나, 이내 다시 18만 명 선으로 내려왔다. 구리시 역시 더 이상 개발할 땅이 없어서 추가적인 인구 유입은 힘든 상황에서 인근 남양주와 하남에 대규모 신축 아파트 공급이 이뤄지면서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년간 구리시 인구 변화 그래프

 

구리시 인구 이동 지도(출처 - 부동산지인)

 

 

정리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경기도에서 인구가 감소한 도시들은 대부분 서울과 가까운 곳에 있는 경기도 도시들이었다. 서울과 멀리 있는 경기도 도시들의 인구는 증가하는 반면, 오히려 가까운 곳에 있는 도시들의 인구가 감소하는 중이었다. 

 

서울과 가까운 곳에 있는 경기도 도시들은 상대적으로 역사가 오래되어 주택 노후화가 심하고, 더 이상 개발할 땅이 없어서 신축 아파트 공급이 적었다. 때문에 더 이상 인구가 유입되지 않고 오히려 새로 개발되는 신도시와 택지지구로 인구가 빠져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보다는 못하지만 서울과 가까운 경기도 도시들의 아파트 가격도 비싼 편이라는 점도 인구가 서울과 먼 경기도 도시들로 이동하는 주 요인 중 하나였다. 

 

GTX 같은 수도권 광역 교통 인프라가 확충되고, 3기 신도시가 본격적인 입주를 시작해야 위와 같은 인구 변화 흐름에 다소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