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서울 각 자치구별 경사도 정리 - 서울에서 평지가 많은 지역(ft. 평균 경사도, 생활권 경사도)

투자 일기/부동산 정보

by Path Follower 2025. 6. 30.

본문

반응형

 

아파트 매매 시 고려해야 할 요인 중 하나는 '평지 여부'이다. 평지는 경사 지형보다 부동산 시장에서 더 높은 가치를 가진다.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는 산지가 70% 이상인 나라라 생각보다 평지가 많지 않다. 특히 서울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형이 구릉지라서 대단지 평지 아파트는 정말 귀하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자치구별로 평균 경사도와 생활권 경사도를 정리해 본다. 

 

서울 경사도 지도 - 한강 주변이 낮고, 남쪽과 북쪽 산악지형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자치구별 평균 경사도

경사도는 말 그대로 경사가 높을수록 수치가 높다. 다음은 서울에서 평균 경사도가 낮은 순서대로 자치구를 배열한 결과이다.

  • 영등포구 0.83
  • 송파구 1.46
  • 강서구 2.00
  • 마포구 2.38
  • 동대문구 2.39
  • 강동구 2.56
  • 성동구 2.85
  • 양천구 2.91
  • 구로구 3.74
  • 강남구 4.16
  • 용산구 4.34
  • 광진구 4.47
  • 중구 4.67
  • 중랑구 5.22
  • 금천구 5.22
  • 동작구 5.46
  • 도봉구 7.20
  • 서초구 7.24
  • 노원구 7.32
  • 성북구 8.08
  • 서대문구 8.93
  • 관악구 10.38
  • 은평구 10.60
  • 종로구 10.72
  • 강북구 11.04

 

평균 경사도는 해당 자치구의 모든 면적을 대상으로 경사도 평균을 낸 수치이다. 따라서 산을 끼고 있는 자치구가 경사도가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서울에서 주말마다 등산객으로 붐비는 산을 끼고 있는 지역들의 경사도가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실제로 평균 경사도가 높게 나온 지역들은 모두 높은 산을 끼고 있는 지역들이다.

  • 강북구, 종로구, 은평구, 성북구 - 북한산
  • 도봉구 - 도봉산
  • 서초구 - 청계산
  • 관악구 - 관악산
  • 노원구 - 수락산, 불암산
  • 서대문구 - 인왕산, 안산

북한산(좌)과 관악산(우)

 

 

서울에서 경사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영등포구였다. 과거 한강 이남 지역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곳이 영등포라는 점이 우연의 일치가 아닐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영등포구는 신길동이나 대방동 일대 구릉지를 제외하면 거의 평지인 지역이다. 공교롭게도 서울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자치구 1위와 2위인 송파구와 강서구의 경사도 순위가 2각각 2위와 3위인 것도 경사도가 낮은 지역에 사람이 많이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울 자치구별 생활권 경사도

사람이 살지 않는 산지를 제외하고 실제 생활이 일어나는 지역의 경사도를 비교하려면 '생활권 경사도'를 살펴봐야 한다.

 

서울 25개 자치구별 생활권 경사도를 낮은 자치구부터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놀랍게도 평균 경사도와 생활권 경사도의 순위가 일치한다. 아무리 사람이 살지 않는 산지를 빼더라도, 기본적으로 산을 끼고 있는 지역들은 경사도가 높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강남이나 서초도 얼핏 보면 평지 같지만, 자세히 임장해보면 구릉지가 많이 섞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성수대교를 건너 언주로를 쭉 따라가다 보면 오르락 내리락하며 강남의 경사를 느낄 수 있다.

  • 영등포구 1.20
  • 송파구 1.45
  • 강서구 1.65
  • 마포구 1.68
  • 동대문구 1.74
  • 강동구 1.82
  • 성동구 1.88
  • 양천구 2.13
  • 구로구 2.15
  • 강남구 2.18
  • 용산구 2.23
  • 광진구 2.44
  • 중구 2.68
  • 중랑구 2.87
  • 금천구 3.02
  • 동작구 3.06
  • 도봉구 3.07
  • 서초구 3.25
  • 노원구 3.77
  • 성북구 3.80
  • 서대문구 3.85
  • 관악구 4.01
  • 은평구 4.41
  • 종로구 5.04
  • 강북구 5.57

 

경사도가 낮은 지역은 대부분 한강이나 큰 하천 주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에서 경사도가 낮은 자치구 상위 5곳 중 4곳이 한강변에 위치한 자치구였고, 상위 10개 지역 중에서는 7곳이 한강변에 있는 자치구였다. 한강변에 있지 않으면서 경사도가 낮은 자치구인 동대문구나 양천구, 구로구는 중랑천과 안양천이라는 비교적 큰 하천을 끼고 있는 지역임을 감안하면 강 주변 지역의 경사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지형도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