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운전하는 중에 문제가 발생했다. 시동을 끄고 차에서 내리려는데 계기판에 "스마트키 배터리 전압이 낮습니다"라는 경고 알람이 뜬 것이다. 자동차에 경고 알람이 뜨면 언제나 무서워지기 마련이다. 이번에도 잠깐 등골이 서늘해졌다. 최근 스마트키 작동이 잘 안된다는 느낌을 받았었는데 이 문제 때문인 것 같았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키 배터리 전압이 낮습니다"에 대한 문제 해결 방법을 정리해 본다.
자동차 계기판에 스마트키 배터리 전압이 낮다는 알람이 뜨는 원인은 자동차 스마트키의 배터리 수명이 다 되었기 때문이다. 스마트키 사용 빈도나 사용 환경에 따라 스마트키 배터리 수명은 달라지지만, 통상적으로 자동차 스마트키 배터리의 수명은 1 ~ 2년 정도이다.
내 차도 구입한지 2년이 되니 스마트키 배터리 수명이 다 된 것이다.
문제의 원인인 스마트키의 배터리를 교환해주면 된다. 과거에는 스마트키에 나사가 있어서 나사를 풀고 배터리를 교환해주면 되었지만, 요즘 나오는 스마트키는 외관이 매끈해서 주변에 나사 구멍이 한 개도 없다. 나사를 풀고 조이는 대신 스마트키를 지랫대의 원리로 분리한 후 배터리를 교체하고 다시 합체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정확한 방법은 차량 매뉴얼 책자에 나와있다. 두꺼운만큼 정말 없는 정보가 없다.
자동차 스마트키에 사용하는 배터리 종류는 모델마다 다르겠지만 통상적으로 CR2032 배터리이다. 다이소에서 1,000원에 두 개를 살 수 있을 정도로 쉽고 싸게 구할 수 있다. 다른 준비물은 없다. 배터리와 스마트키만 있으면 된다.
배터리를 마련했으면 본격적으로 스마트키를 분해해본다.
스마트키 뒷면에 있는 버튼을 누르고 위로 잡아빼면 비상키가 분리된다.
키가 들어가는 빈 공간 위쪽을 자세히 보면 일자( - )모양의 홈이 파진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빼낸 키의 끝 부분을 대면 크기가 딱 맞다.
한 손으로 스마트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비상키를 힘을 줘서 누르면 스마트키가 분리되면서 배터리가 보인다.
스마트키를 분리하는 과정은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해볼 수 있다.
스마트키 내부에 있는 배터리를 교환해준다. 건전지 모양이 똑같아서 교환 중에 어떤 것이 새것이고 헌것인지 구분이 안 갈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분리의 역순으로 다시 스마트키를 결합하면 된다. 제대로 맞추고 힘을 주면 다시 꼽힌다. 이후 비상키까지 꼽아주면 스마트키 배터리 교환이 완료된다.
KB자동차보험 걸음수할인 특약 가입 방법 - 적용되는 만보기 어플과 걸음수 조건 및 할인율 (0) | 2025.04.08 |
---|---|
2025년에 변화된 교통법규 정리(ft. 나일롱 환자 향후치료비 지급 금지) (0) | 2025.03.22 |
자동차 보험 대중교통특약 추가 가입하기(ft. K패스 대중교통 이용 실적 발급 및 모바일 티머니 카드 번호 조회 방법) (0) | 2025.02.01 |
BYD 아토3와 기아 EV3 비교 - 크기, 배터리, 가격, 옵션 분석(ft. 아토3 성공 가능성) (0) | 2025.01.24 |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내는 방법(자동차세 간편결제 종류와 애플페이 적용 여부) (0) | 2025.01.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