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대중교통 장려 정책인 K패스가 본격 시행되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한 요금을 적립 후 환급해주는 제도이다. 일단 요금은 다 내고, 추후에 환급을 통해 실질적으로 요금을 할인 받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흔히 K패스가 대중교통 요금을 할인해준다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질적으로 할인은 맞지만 시스템은 적립 후 환급으로 운영된다. 환급 시스템이기 때문에 내가 사용한 요금에 대한 환급금이 언제 내 계좌로 다시 들어오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문제는 요금 환급 기간이 카드사별로 다르다는 점이다. 이번 글에서는 각 카드사별로 K패스 요금 환급에 소요되는 기간(날짜)에 대해 정리해봤다.
K패스는 사용하면 무조건 대중교통 요금을 환급해주는 제도가 아니다. 아래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만 대중교통 환급이 적용된다.
만약 대중교통을 월 14회만 사용했다면 요금 환급을 받을 수 없다. K패스를 운영하지 않는 지자체에서 버스를 탔다면 이 역시도 요금 환급이 적용되지 않는다. 참고로 K패스 카드 발급 첫 달은 사용 횟수와 상관 없이 환급 혜택이 적용된다.
정부에서는 한 달간 이용자의 K패스 사용 실적을 확인하고, 적립액을 정산한 후 다음 달 5영업일에 해당하는 날에 카드사로 적립액을 보낸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2024년 5월에 K패스를 사용해서 적립된 금액을 다음 달인 6월의 5영업일째인 6월 10일에 카드사로 보낸다는 이야기다.
정부에서 적립금을 받은 카드사는 K패스 사용자에게 이 적립금을 보내주는데, 그 기간이 카드사별로 다르다.
신한, 우리, 삼성카드의 경우 7~9영업일을 기준으로 K패스 환급액을 고객들에게 지급한다. 2024년 5월 K패스 사용으로 적립된 금액을 7영업일째인 6월 12일에서 9영업일째인 6월 14일 이내에 지급한다는 의미다.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케이뱅크 같은 경우 지정된 날짜에 K패스 환급액을 고객들에게 지급한다.
하나카드, BC카드, IBK기업은행, 현대카드, 광주은행의 경우 내 카드 대금 납부일에 맞춰 K패스 환급금이 지급된다.
카드사로부터 K패스 환급금을 빨리 받고 싶다면, 신한카드나 우리카드, 삼성카드에서 K패스 교통카드를 발급 받는게 좋다. 반면 KB국민카드는 환급금 지급 날짜가 다음 달 마지막 영업일로 가장 느린편이니 발급 시 참고해야 한다.
더 자세한 정보는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주말 청와대 관람 시 이용 가능 주차장 추천(ft. 주차 일일권) (0) | 2024.06.05 |
---|---|
K패스 카드 삼성페이 등록 시 월사용한도액초과 오류 해결 방법 (0) | 2024.05.31 |
삼성페이에 K패스 교통카드(체크) 등록하기 - 소액신용결제미등록고객 오류 해결 방법 (0) | 2024.05.29 |
K패스 카드 받고 가장 먼저 해야 할 일(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하기) (1) | 2024.05.26 |
여름 꽃(장미, 라벤더, 데이지, 수국, 수레국화, 양귀비) 명소 정리 (0) | 2024.05.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