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개별 구매 및 맞춤형복지 영수증 청구하는 방법(할인 적용 여부)

학교 일기/교육 이슈

by Path Follower 2025. 3. 21.

본문

반응형

올해부터 서울에서 근무하는 교사나 교육공무직도 전통시장상품권 의무 구매를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개별 구매하는 방법과 맞춤형복지에 영수증을 청구하는 방법, 할인 적용 여부를 정리해 본다.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개별 구매 시 할인 적용 여부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개별 구매할 경우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할인 혜택이 적용되는 과정과 원리는 다음과 같다.

 

  • 개별 구매 의무 금액 확인
  • 개별 구매 의무 금액의 10% 할인 결제
  • 맞춤형 복지 포인트 유지

 

개별 구매 의무 금액에 맞는 온누리상품권을 모바일로 구매할 경우 1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그런데 맞춤형 복지 점수는 구매한 상품권의 액면가가 유지된다. 13만원 어치의 온누리상품권을 구입하면 10% 할인된 11만 7,000원이 결제되고 맞춤형 복지 점수는 상품권 액면가인 13만원에 해당하는 130점이 소진되지 않고 유지된다는 의미다. 유지되는 점수인 130점을 13만원처럼 쓸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온누리상품권을 개별 구매하면 10% 이익을 볼 수 있다.

 

반응형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개별 구매 방법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개별 구매할 수 있다.

 

1. 디지털온누리 어플 다운 받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려면 어플을 다운 받아서 어플 내에서 구매해야 한다.

 

 

2. 디지털온누리에 회원가입하기

핸드폰을 통해 본인인증을 해야 가입할 수 있다. 

디지털온누리 회원 가입

 

 

3. 충전계좌 등록하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실시간 계좌이체 방식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신용카드 구매가 안 되니 유의해야한다.

계좌를 등록하기 위해 '충전계좌 관리'를 누르고 계좌인증을 통해 계좌를 등록한다.

디지털온누리 충전 은행 계좌 등록

 

 

4.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입하기

의무 구입 금액에 해당하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한다. 충전하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구매 시 충전계좌에서 구매 금액의 10% 할인된 금액이 출금된다.

디지털온누리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입하기
디지털온누리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입하기

 

 

5.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 시스템에서 영수증 등록하기

의무 구입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의 이용내역을 캡쳐해서 첨부해야한다.

디지털온누리에서 '이용내역'을 누르고 디지털온누리상품권 충전 내역을 누르면 이용내역 상세를 캡쳐할 수 있다.

 

 

이용내역 상세 화면이 나오면 캡쳐한다.

 

 

맞춤형복지 시스템에서 '영수증 청구'를 선택한다.

 

복지항목, 구매업체, 구매내역, 영수증금액을 입력하고 이용내역 캡쳐파일을 첨부한다.

이때 반드시 복지항목 선택에서 "온누리(지역사랑) (개인의무구매)"를 선택해야 한다.

개별 구매 상품권 영수증 청구하는 방법

 

 

신청을 완료하면 맞춤형복지 시스템 상 의무 구입 가격에 구매금액이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5 교사 맞춤형 복지비 배정 내용(ft. 2024년과 차이점, 입금 시기)

 

2025 교사 맞춤형 복지비 배정 내용(ft. 2024년과 차이점, 입금 시기)

교사나 공무원은 1년에 한 번씩 맞춤형 복지비라는 것을 지급받는다. 과거에는 공무원복지포인트로 불렸는데 지금음 이름이 바뀌어서 맞춤형 복지비라고 표현한다. 경력과 부양가족, 출산이나

pathfollower.tistory.com

 

 

교사 맞춤형복지 - 온누리 상품권(서울페이) 개별 구매 방법 및 구매 금액 조회하기

 

교사 맞춤형복지 - 온누리 상품권(서울페이) 개별 구매 방법 및 구매 금액 조회하기

서울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경우 올해부터 온누리 상품권을 개별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작년까지는 학교 행정실에서 온누리 상품권을 일괄 구매하여 나눠주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번 글

pathfollower.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