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복권 세금 변경 - 2023년부터 로또 4등 당첨금 세금 없음

생활

by Path Follower 2023. 2. 7.

본문

반응형

 

2023년 1월 1일부터 복권에 대한 과세가 일부 변경되었다. 복권 당첨을 기원하면서 복권 세금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올해 변경된 부분을 정리해 봤다.

 

 

복권 세금 제도

복권에는 기타소득세가 분리과세로 적용된다. 분리과세이기 때문에 내가 연봉을 얼마를 받든 적용되는 세율은 당첨금에 따라 일정하게 적용된다.

 

우리나라 복권에 부과되는 세금은 아래와 같다.

  • 3억원 초과 시 : 33%(기타 소득세 30% + 주민세 3%)
  • 200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22%(기타 소득세 20% + 주민세 2%) 

 

반응형

 

로또의 경우 1등 당첨금이 10억원 내외이기 때문에 33%의 세율이 적용되며, 2등과 3등은 당첨금이 1억원 내외이기 때문에 22%의 세율이 적용된다. 4등과 5등은 당첨금이 200만원 이하이기 때문에 세금이 없다. 연금복권의 경우 누적 수령 당첨금은 3억원이 넘지만, 22%의 세율이 부과된다. 세금 측면에서는 로또보다 연금복권이 낫다고 볼 수 있다.

 

3억 초과 시 33%가 과세 된다고해서 10억에 당첨된 경우 10억의 33%인 3억 3천만원을 세금으로 내야하는 건 아니다.

3억원까지는 22%의 세율이 적용되고, 3억원을 초과한 금액에만 33%의 세율이 적용된다. 이렇게 계산하면 세금은 296,999,670원(약 2억 9,700만원)이 된다. 숫자가 지저분하게 나오는 이유는 복권 구매금액 1,000원이 공제된 9억 9,999만 9,000원에 대해서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10억원 당첨 시 실제 세율은 29.7%정도다.

로또 당첨금 10억 시 세금 계산 방법

 

 

복권 세금 변경된 내용

2023년 1월 1일부터 복권 당첨금 비과세 기준이 상향되었다.

원래는 당첨금이 5만원이 초과되는 경우에는 세금을 내야 했었는데, 이제부터는 5만원 초과에서 200만원 이하의 당첨금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복권 당첨금이 2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된다. 복권 구매 비용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기껏해봐야 1,000원이라 큰 의미는 없다.

 

이번 비과세 기준 상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건 로또 4등 당첨이다. 5만원에 당첨된 경우 22%인 11,000원을 세금으로 내야했는데 이제 더 이상 내지 않아도 된다. 개인적으로 로또 1등은 바라지도 않으니 2등에라도 당첨되어 봤으면 좋겠다.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로또 대박 나시기를 바라본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