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내는 방법(자동차세 간편결제 종류와 애플페이 적용 여부)

생활/자동차

by Path Follower 2025. 1. 15.

본문

반응형

 

재테크의 기본은 세금이라고 했다. 절세는 재테크의 기본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내야 하는 거의 절세가 불가능한 세금들도 있다. 자동차를 가지고 있으면 내야 하는 자동차세가 대표적이다. 1월은 자동차세의 달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자동차세 고지서가 오기 전에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를 납부하는 방법을 정리해 본다. 먼저 자동차세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자동차세란?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한 개인이나 법인에게 부과되는 세금이다. 소유한 자동차를 단 한 번도 운전하지 않았더라도 자동차세는 내야한다. 자동차세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국세가 아닌 지방세라는 점이다. 두 번째 특징은 후불제이라는 점이며 마지막 특징은 일할 계산된다는 점이다. 올해 내는 세금은 작년에 자동차를 소유했기 때문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작년에 보유한 기간만큼 일할 계산되어 자동차세가 부과된다.

 

6월과 12월 두 번 부과되는데, 1월에 낼 경우 연납이라고 해서 약 9%의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어차피 낼 세금이니 미리 1월에 다 내고 세금 할인을 받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내기

지방세이기 때문에 지방세 납부 어플인 위택스(wetax)나 서울시 세금납부(stax)를 받아야 한다. 자동차 등록지가 서울인 경우에만 서울시 세금납부 어플을 사용하며, 나머지는 모두 위택스 어플을 사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위택스를 기초로 설명해본다. 사실 인터페이스 정도만 다를 뿐 순서나 과정은 두 어플 모두 거의 동일하다.

 

 

1. 어플 다운로드를 한다.

먼저 위택스 어플을 다운받아 설치한다.

 

위택스 - Android 앱 Google Play

 

s택스 - Android 앱 Google Play

 

 

2. 어플을 실행하고 우측 상단 메뉴 버튼을 누른다.

 

3. 로그인을 위해 화면 상단에 있는 로그인 아이콘을 누른다.

 

 

4. 비회원을 누르고 로그인한다.

 

반응형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하다. 비회원을 누르고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인증하고 본인인증을 통해 로그인할 수 있다. 비회원이라도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서는 필요하다. 만약 회원이라면 그냥 로그인하면 된다.

 

 

5. 자동차세를 확인한다.

인증이 완료되면 위택스 어플에서 나에게 부과된 세금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납부 아이콘을 누른다.

 

 

6. 지방세를 누른다.

자동차세는 위에서 말했듯이 지방세이다. 지방세를 눌러 자동차세 부과 금액을 확인한다.

 

 

7. 내야할 자동차세가 검색된다. 선택하고 납부를 누른다.

자동차세는 배기량과 자동차 연령에 따라 세율이 결정된다(전기차는 연령에 상관없이 동일 세율 적용).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납부하는 방법

 

 

자동차세는 다른 사람 명의의 카드나 계좌이체로도 납부할 수 있다.

 

 

자동차세 결제 방법 - 애플페이 적용 여부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를 납부할 때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 결제 세 가지 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해서 납부할 수 있다.

간편 결제에서는 페이코,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엘페이 5가지가 적용되며 애플페이는 지원하지 않는다. 삼성페이가 적용되기 때문에 갤럭시 사용자들은 편하게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를 납부할 수 있다.

자동차세 간편결제 시 지원되는 플랫폼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