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오은영 박사가 말하는 감정조절이 안되는 아이 양육법 - 화 많고 짜증내고 잘 우는 아이 다루는 방법

본문

반응형

아이를 키우는 데 있어 중요한 게 뭘까? 공부? 인성? 체력?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감정조절도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아닌가 싶다. 감정조절은 어떻게 보면 영어나 한글 공부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 감정 조절을 잘하지 못하면 아이가 앞으로의 인생에서 만나야 할 사람들과 갈등을 겪기 쉽고 이로 인해 행복해지기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조절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게 아니라 후천적으로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부모가 가르쳐야 한다. 만약 부모가 감정조절이 서투르다면 자녀도 감정조절이 서투를 확률이 높다. 이런 경우 부모도 같이 감정 조절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정조절을 가르치는 나이는 아이가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만 3세 시점이다. 이때부터 시작해야 한다. 

 

감정조절에서 중요한 요소는 '아이의 감정을 잘 수긍하고 인정해주는 것'과 아이의 하는 말과 행동에 대한 '문제점을 이야기 해주는 것', 마지막으로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말하거나 행동할지 아이와 의논해보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반복적으로 부모와 함께 한다면 아이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말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감정 조절이 잘 안되어서 생기는 문제마다 그에 맞는 해결책을 정리해봤다.

 

 

화를 자주 내는 아이

화라는 감정 자체는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아니다. 화내는 것을 혼내고 억압하면 아이는 죄책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화를 억압하면 안 된다. 화난 감정은 받아주되 화를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아이가 화를 내는 이유

 

 

 

  • 화가 방어수단인 경우
  • 아이의 자존감이 낮은 경우
  • 아이가 소외감 / 좌절감을 느끼는 경우
  • 아이가 마음의 상처,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불안해하는 경우
  • 아이의 마음대로 안 되어 속상한 경우

아이가 겉으로는 화를 내고 있지만 속으로는 슬픔이나 우울증에 빠져있을 수도 있으니 잘 살펴봐야 한다. 자주 혼내고 엄하게 훈육하는 부모의 아이는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으니 부모의 양육 태도도 점검해봐야 한다.

 

아이가 화를 낼 때 보이는 행동

아이가 화가 날 때 보이는 행동은 표정 변화, 울기, 골내기, 투덜거리기, 유치원 등원 거부, 때리기, 욕하기, 소리지르기와 같은 행동이 있고 아무 표현도 하지 않고 조용히 가만히 있는 수동적인 형태도 있다.

 

해결책

  • 화가 난 아이의 마음을 인정해주기
  • 화를 표현하는 적절한 방법을 알려주기
  • 부모가 화를 다루는 좋은 본보기가 되어주기
  • 화의 허용범위를 명확히 구분하기
  • 아이가 부모에게 화를 내고 욕을 한다고해서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기
  • 조언을 해주되 명령은 하지 않기
  • 아이가 화를 낼 때 빨리 개입하기
  • 아이가 몸을 많이 움직일 수 있게 해주기
  • 관심을 받고 싶어 화를 내는 경우, 부적절한 행동은 무시하되 아이에게 끊임없이 관심을 줘야 함

 

 

짜증과 신경질을 내는 아이

짜증과 신경질을 많이 내는 아이의 경우 부모에게 부정적인 감정표현이 나쁜 것이라 배워서 제대로 표현해본 적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남에게 좋은 모습만 보여주려는 아이도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데 서툴 수 있다.

 

해결책

  • 아이가 있는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주기
  •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고 그다음에 감정조절 교육을 시키기
  • 아이의 감정에 관심을 가져주고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며 관계 형성에 주력하기

 

 

징징거리고 잘 우는 아이

아이들은 원하는 것이 있거나 부모의 관심을 받고 싶을 때 징징거린다. 징징거린다고 벌을 줘도 그것 역시 관심의 표현으로 받아들인다.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는 적당한 방법을 몰라서 일단 징징대고 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가 징징거리거나 우는 이유를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해결책

  • 왜 아이가 우는지 먼저 확인해보기
  • 아이의 요구를 들어보고 타당하면 들어주기
  • 아이의 요구가 타당하지 않다면 대화해보기
  • 운다고 무조건 들어주지 않기

 

 

잘 삐치는 아이

삐침은 수동적이면서 공격적인 특성을 가진다. 삐침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는 표현하지 않으면서 타인을 조종하기 위한 수단이다. 아이에게 삐치기 대신 자기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해결책

  • 실망한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주기
  • 선택할 기회를 주기
  •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마음가짐을 북돋아주기
  • 잘못한 것을 찾지 말고 문제 해결 방법을 찾기
  • 아이의 속마음을 잘 헤아려주기(두려움이나 무서움이 삐침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함)
  • 아이가 삐쳤을 때 과하게 반응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대응하기

 

 

질투하는 아이

질투나 시기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감정이기는 하지만, 감정의 정도가 심한 경우 살아가는 데 불필요하고 불편한 부정적인 감정이다. 질투는 타인의 단점에 주목하게 됨과 동시에 자신의 발전을 막기 때문에 소모적인 감정이라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아이의 질투가 과한 경우 이를 교정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

 

해결책

  • 질투의 감정을 느끼는 순간 부모가 바로 개입하여 감정조절을 할 수 있게 도와주기

 

 

잘 웃지 않는 아이

잘 웃지 않는 아이는 정서 분화가 덜 되어 감정표현이 미숙한 경우일 수 있기 때문에 부모가 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해줘야 한다. 부모 자신이 감정 표현을 억제하고 억압하는 경우 아이는 감정표현의 강도를 조절하기 힘들다. 따라서 자녀의 문제 해결 이전에 부모의 감정 표현에 대해서도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해결책

  • 정기적으로 유쾌한 가족 모임 시간을 가져보기(재미있는 TV 프로그램 함께 보며 웃기, 시간을 정해 일부러 크게 웃기, 가족 모임 시간 중 재미있었던 일 이야기하기)
  • 감정표현이 어색하고 소극적인 아이라면 감정 표현의 첫 경험을 잘 시켜주기
  • 가정에서 아이의 감정을 억압하지 않기
  • 우울하고 심리적인 고통이 심한 경우라면 소아정신과에 가서 상담받아보기

 

 

부적절한 상황에 웃는 아이

아이는 두렵거나 불안하거나 당황할 때 웃는 것인데 이럴 때 부모가 아이를 혼내게 되면 아이는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해결책

  • 상황 발생 시 아이를 야단치거나 이상한 눈으로 보지 말고 아이가 두렵고 무서워하는 것의 원인을 파악해 제거하기
  • 다양한 상황에서의 문제 대처 능력 가르치기
  • 아이를 야단치거나 이상한 눈으로 보지 않기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