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무직은 매년 시도교육청과 협상을 통해 처우를 개선하고 있다. 올해에도 어김없이 시도교육청과 협약이 진행됐고 일정 부분 처우개선을 이루는데 성공했다. 이번 글에서는 시도교육청과 협상을 통해 정해진 2025년 교육공무직 처우개선 내용에 대해 정리해 본다.
2025년 교육공무직 처우 개선 내용은 크게 4가지이다.
기본급이 1유형과 2유형 모두 8만 원 인상되었다. 작년에는 6만 8,000원이 올랐는데 상승폭이 더 커졌다. 덕분에 2025년부터 교육공무직의 기본급이 모두 200만 원대가 되었다. 연봉으로 따지면 96만 원의 인상 효과가 있다.
근속수당이 1,000원 인상되어 4만 원이 되었다. 근속년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적으로 연봉으로 환산하면 10만 원 이상 인상 효과가 있다.
명절휴가비가 15만 원 인상되어 185만 원이 되었다. 설과 추석으로 나눠서 각각 92만 5,000원씩 지급된다. 이 추세대로라면 내년에는 처음으로 명절휴가비 200만원 시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근속 상한 연수가 1년 연장되어 24년이 되었다. 근속 상한은 공무원의 호봉 개념으로 보면 된다. 공무원은 호봉 제한이 없지만 아직까지 교육공무직은 근속 상한 제한이 있어서 일정 경력 이상부터는 근속 경력이 쌓이지 않아 월급이 오르지 않는다. 2022년, 2024년에 이어 올해도 1년 더 연장되었다.
이외에도 근속기산일이 연 4회가 적용되어 퇴직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게 되었고, 경력 인정 범위가 확대되어 임용 시 다소 유리한 점이 생기게 됐다. 올해 공무원들의 가족수당이 오르면서 교육공무직도 동일하게 가족수당이 인상된다.
위 개선안 내용을 모두 반영하면 교육공무직은 연 기준 약 120만 원 정도 연봉이 오르게 된다. 액수 자체로만 보면 적지 않은 금액인 것으로 보인다. 공무원들은 저연차 공무원의 보수를 인상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것에 반해 교육공무직은 경력과 무관하게 처우가 좋아지고 있다.
교육공무직 장점 정리 - 임금, 근무 시간, 가성비, 처우 분석
교육공무직 장점 정리 - 임금, 근무 시간, 가성비, 처우 분석
학교에 근무하는 사람들 중 교육공무직의 지위를 가진 사람들이 있다. 교육행정직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예 분류가 다르다. 교육행정직은 주로 학교 행정실에서 일하는 지방직 공무원
pathfollower.tistory.com
2024 교육공무직 월급(임금), 수당 인상, 처우개선 내용 정리
2024 교육공무직 월급(임금), 수당 인상, 처우개선 내용 정리
2024년에는 교사의 담임수당과 보직교사수당, 특수교사 수당 등의 인상이 반영되었다. 악성 민원에 대한 노고, 교사의 교권 보호, 교사의 처우 개선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결과였다. 교사와 함께
pathfollower.tistory.com
초등교사 자율연수 휴직 - 신청 자격과 호봉, 경력 인정 여부(ft. 휴직원과 연수계획서 양식) (0) | 2025.01.31 |
---|---|
2025년 교사 봉급 인상률과 인상되는 수당 종류와 금액 (0) | 2025.01.14 |
evpn 에듀파인 접속 오류 해결 방법(인증서 로그인 창만 뜰 때) - IE 호환 모드 제거 파일 (0) | 2025.01.07 |
2025년 교사 수당 인상 내용과 적용 시기 총정리(ft. 정근수당, 가족수당, 보건영양사서상담교사 수당) (1) | 2024.12.30 |
교감 수당 신설 - 금액과 도입 시기 정리(ft. 중요직무급과 교무, 연구부장 수당 가능성) (0) | 2024.12.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