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를 비롯한 공무원에게는 매년 복지포인트(맞춤형복지점수)가 배정된다. 복지포인트로 필수 보험도 가입하고, 강제로 온누리 상품권도 일정 비율 구매한다. 그리고 남은 포인트는 다양한 곳에서 물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교사는 국가직공무원이지만, 지방직처럼 복지포인트는 시도교육청 별로 다르게 지급된다. 매년 조금씩 바뀌게 되는데 이번 글에서는 시도교육청별로 배정된 교사의 2024년 복지포인트를 정리해본다. 참고로 복지포인트는 1점이 1,000원이다.
건강검진 : 200점(만 40세 이상을 대상으로 격년으로 제공) / 500점(만 45세에 제공)
난임지원 : 500점(1회)
태아·산모검진 : 100점(자녀당 1회)
가족 관련
배우자 : 100점
직계존속 50점
첫째 자녀 : 50점
둘째 자녀 : 100점
셋째 자녀 : 200점
출산축하 관련
첫째 : 1,000점(출산 후 1년 이상 거주시 1,000점 추가)
둘째 : 2,000점(출산 후 1년 이상 거주시 1,500점 추가)
셋째 : 3,000점(출산 후 1년 이상 거주시 2,000점 추가)
넷째 : 3,000점
전북
기본 포인트 :1,000점
근속연수 :근속연수1년당 10점씩배정
건강 관련
건강검진 : 350점(격년으로 제공)
난임지원 : 500점(1회)
태아·산모검진 : 100점(자녀당 1회)
가족 관련
배우자 : 100점
직계존속 50점
첫째 자녀 : 50점
둘째 자녀 : 100점
셋째 자녀 : 200점
출산축하 관련
첫째 : 1,000점
둘째 : 2,000점
셋째 : 3,000점
넷째 : 3,000점
경남
기본 포인트 :1,000점
근속연수 : 기본 100점에 근속연수1년당 10점씩배정
건강 관련
건강검진 : 200점(격년으로 제공)
난임지원 : 500점(1회)
태아·산모검진 : 100점(자녀당 1회)
가족 관련
배우자 : 100점
직계존속 50점
첫째 자녀 : 100점
둘째 자녀 : 200점
셋째 자녀 : 200점
출산축하 관련
첫째 : 1,000점
둘째 : 2,000점
셋째 : 3,000점
넷째 : 3,000점
경북
기본 포인트 :900점
근속연수 :근속연수1년당 10점씩배정
건강 관련
건강검진 : 300점(격년으로 제공)
난임지원 : 500점(1회)
태아·산모검진 : 100점(자녀당 1회)
가족 관련
배우자 : 100점
직계존속 50점
첫째 자녀 : 50점
둘째 자녀 : 100점
셋째 자녀 : 200점
출산축하 관련
첫째 : 1,000점
둘째 : 2,000점
셋째 : 3,000점
넷째 : 4,000점
제주
기본 포인트 :900점
근속연수 :근속연수1년당 15점씩배정
건강 관련
건강검진 : 300점(격년으로 제공)
난임지원 : 500점(1회)
태아·산모검진 : 100점(자녀당 1회)
가족 관련
배우자 : 100점
직계존속 50점
첫째 자녀 : 50점
둘째 자녀 : 100점
셋째 자녀 : 200점
출산축하 관련
첫째 : 0점
둘째 : 2,000점
셋째 : 5,000점
넷째 : 7,000점
정리
기본 복지포인트가 가장 많이 배정된 지역은 대전으로 1,100점이었다. 1,000점 이상 배정된 지역은 강원, 전북, 인천, 광주, 경남이었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00점 미만이었다. 충북과 경기가 800점으로 가장 적었다.
지역별로 미세하게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근속경력 1년 당 10~15점 정도 복지 포인트가 증가했다.
배우자 복지포인트는 서울과 세종만 200점이었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100점이었다. 직계존속 복지포인트는 서울과 강원만 100점이었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50점이었다. 부산과 대구와 제주는 첫째 자녀는 출산 복지포인트가 지급되지 않고 둘째부터 지급되었다. 제주의 경우 넷째 자녀 출산 시 7,000점의 복지포인트가 배정되었지만 몇 명이나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