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속도로 통행료 - 결제 가능한 카드 종류 정리(feat. 교통카드 기능 필수)

생활/자동차

by Path Follower 2023. 7. 4.

본문

반응형

 

고속도로 통행료를 납부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1990년대만 해도 현금 납부가 대부분이었지만, 2005년부터 하이패스가 단계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대부분의 차량이 하이패스 시스템을 통해 고속도로 통행료를 납부하고 있다. 그러나 011 번호가 전부 없어지기까지 20여 년이 걸렸듯, 모든 차량의 통행료를 하이패스로 납부할 때까지도 꽤나 오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지금도 상당수 차량들은 하이패스 이외의 방법으로 통행료를 납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금, 카드 등의 방법으로 통행료를 내는 차들도 꽤 된다. 문제는 고속도로 통행료를 카드로 낼 때 모든 신용카드가 사용 가능한게 아니라는 점에 있다. 이 점이 가끔씩 운전자들을 당황하게 만든다. 결론부터 먼저 말하자면,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만 톨게이트에서 통행료 결제가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가 가능한 카드 종류를 확인해봤다.

 

 

고속도로 통행료 가능한 카드 종류

1. 선불 하이패스 카드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더라도, 하이패스 카드를 활용한 통행료 결제는 가능하다.

하이패스 카드는 선불 하이패스 카드와 후불 하이패스 카드로 나뉘는데 선불 하이패스 카드는 미리 돈을 충전해서 사용하는 카드이다.

 

선불 하이패스 카드는 온라인 충전과 오프라인 충전 모두 가능하다.

온라인 충전은 어플에서 신용카드와 계좌이체 방법으로 충전한다. 오프라인 충전은 고속도로 영업소나 휴게소, 하이패스 센터 롯데 ATM 기계에서 가능하다. 선불 하이패스 카드 발급을 위한 카드 발급 수수료로 5,000원이 든다. 오프라인 충전 시 유의사항은 신용카드로는 충전이 안된다는 것이다. 현금과 체크카드로만 충전이 가능하다.

선불 하이패스 카드, 출처 - 한국도로공사

 

2. 후불 하이패스 카드

고속도로에서 통행료가 결제되면 이후 신용카드 이용대금 청구 시 통행료가 포함되는 카드이다.

후불 하이패스 카드는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신청해서 사용하면 된다. 하이패스 카드는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지원하고 있다. 후불 하이패스 카드에는 카드사 마크나 이름이 표기되어 있다.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를 위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카드 종류다.

하이패스 카드 발급 가능 카드사
후불 하이패스 카드, 출처 - 신한카드

 

3. 선불 교통카드

교통카드 역시 선불 교통카드와 후불 교통카드로 구분된다. 선불 교통카드는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티머니, 캐시비 같은 교통카드이다. 선불이니만큼 미리 현금 등으로 충전해서 사용해야 한다.

선불 교통카드(티머니)

 

4. 후불 교통카드

신용카드 발급 시 교통카드 기능을 넣을지 선택할 수 있는데 교통카드 기능이 들어간 신용카드가 후불 교통카드이다.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만 톨게이트에서 결제가 가능하다. 만약 교통카드 기능이 없는 신용카드만 있다면, 톨게이트가 아닌 톨게이트 사무실에서 통행료를 결제해야 한다. 따라서 비상시를 대비해 차 안에 잘 안 쓰는 신용카드 중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를 한 장 넣어두면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 시 요긴하게 쓸 수 있다(요즘 하이패스가 워낙 잘 되어 있어서 사실 무쓸모이긴 하다).

 

 

정리 - 하이패스가 최고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가 가능한 카드 종류에 대해 정리해 봤다.

정리하면서 느낀 점은 고속도로 통행료 납부 시 하이패스가 최선이자 최고의 방법이라는 점이다. 유효기간 10년짜리 후불 카드 하나 만들어 놓고 사용하면 통행료 미납을 걱정할 필요도 없고, 톨게이트마다 멈춰 설 필요도 없고 매우 편리하게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이패스 단말기가 없는 경우라면,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신용카드를 차에 넣어두고 활용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다. 반드시 교통카드 기능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마지막으로 강조한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1. 2023.06.29 - [생활/자동차] - 1차선 정속주행 단속 - 벌금과 벌점, 단속시기 정리(feat.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1차선 정속주행 단속 - 벌금과 벌점, 단속시기 정리(feat. 고속도로 지정차로제)

운전하는 사람들은 다 알겠지만(알 것이라 믿는다), 고속도로에는 차선별로 다닐 수 있는 차들이 정해져 있다. 지정차로제라고 하는 제도인데 차종마다 평균 속도가 다르다는 점에 착안해서 수

pathfollower.tistory.com

 

2. 2023.06.21 - [생활/자동차] - 전국 고속도로 톨게이트(나들목, IC) 교통량 순위(feat. 서울의 위엄)

 

전국 고속도로 톨게이트(나들목, IC) 교통량 순위(feat. 서울의 위엄)

주말에 나들이를 갈 때면 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속도로라는 말이 무심하게 차들이 밀리는 경우가 많다. 내가 주로 이용하는 구간만 차가 많은 건지는 모르겠지만, 항상 반대 방향

pathfollower.tistory.com

 

3. 2023.04.24 - [생활/자동차] - 고속도로 안 지나는 도시(시군) 정리

 

고속도로 안 지나는 도시(시군) 정리

우리나라는 고속도로 총연장이 5,000km에 달할 정도로 고속도로 망이 발달해있다. 국토 면적 대비 고속도로 길이로 따지면 전세계 어느 국가와 비교해도 부족하지 않을만한 교통망이 사통팔달로

pathfollower.tistory.com

 

4. 2022.10.25 - [생활/자동차] -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종류 및 할인 방법(출퇴근, 경차, 전기수소차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종류 및 할인 방법(출퇴근, 경차, 전기수소차 할인)

우리나라 고속도로는 유료도로이고 통행료를 받고 있다. 통행료는 차종, 이용 시간과 요일 등에 따라 할인 혜택을 받기도 하고 할증이 되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의 종류

pathfollower.tistory.com

 

5. 2022.10.24 - [생활/자동차] - 고속도로 주말, 공휴일 통행료 할증 정리

 

고속도로 주말, 공휴일 통행료 할증 정리

고속도로 통행료 체계는 생각보다 복잡하다. 우선 기본적으로 차종에 따라 요금이 달라진다. 전반적으로 차가 작을수록 요금이 저렴하고 차가 클수록 요금이 비싸진다. 그리고 정부가 건설한

pathfollower.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

< >